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케미 렌즈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스마트블루 (소재차단 vs 코팅차단) 비교, 라식 수술후 보안경 추천 케미렌즈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렌즈 신제품이 나왔네요. 제품명은 스마트블루입니다. 소재차단 방식 및 코팅차단방식의 혼합형이네요. 시력보호 측면에서는 가장 좋은 효과가 있을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이런제품 국내에서는 왜안만들지?? 하고 있었던 딱 그런 제품이 이번에 출시된거 같아요. 대신 가격이 좀 높은편이군요? 출시하면 프로모션으로 실제 고객분들은 더 저렴하게 구입가능하실거에요. 현재는 1.60 구면렌즈만 출시된 상황이고 앞으로 점점 늘어날 전망. 기존 페펙트UV처럼 소재에서 420nm까지 차단하고 거기에 더해서 435nm청광파장을 코팅으로 반사하는 소재+코팅차단 방식입니다. 컨셉을 눈건강 관리 메디컬케어로 잡았네요. 요즘 백내장수술을 많이 하게되죠. 라식수술도 마찬가지구요. 그후에 자외선차단이 중요하다.. 2021. 4. 11.
칼 자이스 블루라이트 차단 블루가드, 안티 바이러스 코팅 자이스(ZEISS) 안경렌즈에 새로운 블루라이트 차단 방식인 블루가드(Blue Guard) 옵션 및 안티바이러스(AntiVirus) 코팅이 추가된다는 소식입니다. 주문시기 한국에서는 지금부터 15일 후인 4월 21일부터 주문이 가능해질 예정이라고 하네요. 차단방식 및 파장 블루가드 옵션은 기존 코팅반사방식의 듀라비젼 블루프로텍트(Blueprotect)와 달리 소재차단방식을 채용했습니다. 덕분에 기존 블루프로텍트 코팅대비 반사빛 색상이 50%정도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타사블루라이트 코팅방식 대비 반사정도가 적었으나, 블루라이트 차단으로 인해 특유의 청보라빛이 반사되는 느낌이 있었는데 거의 해소될 것 같습니다. 아마 Nikon의 BLUV 및 Pureblue와 같은 UV420차단 방식과 동일한듯 하지만 정확한.. 2021. 4. 5.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어지러움 및 눈 아픔 이유 3가지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이 어지럽다 또는 눈이 아프다는 검색이 많은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 안경인데 오히려 눈이 아픈이유는 다음 3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의도치 않은 프리즘영향 (무도수인데 무슨소리냐? 하실 수 있겠죠..) 두번째로는 가공의 잘못으로 인한 왜곡! 이 두 가지 모두 굉장히 많은 눈의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입니다. 마지막 3번째는 개인의 눈의 상태에 따른 색각 민감도 차이입니다. (난, 노랗게 보이는 건 정말 싫더라.. 이런 분 있어요~~) 1. 프리즘 영향 도수가 없는 무도수 블루라이트 차단안경을 구입했는데, 눈이 피로하다면 원인이 무엇인지 소비자 입장에서 추측하기 참 어렵습니다. 분명 도수가 없다면 눈에 어떤 영향도 줄수 없을테니까요. 너무 높은.. 2021. 4. 2.
성인 근시 진행 이유 및 완화방법 성인인데 근시가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언제까지 근시가 진행하는 걸까요? 그리고 완화할수 있는 방법과 완화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눈의 근시진행은 성장성 근시, 그러니까 키가 크듯, 안구가 커지면서 생기는 근시를 의미합니다. 그러면 눈의 근시는 언제쯤 그 성장을 멈추게 될까요. 500명을 대상으로한 COMET의 11년간 연구결과를 보면 만나이를 기준으로 15세에는 절반정도인 48%가 어느정도 근시진행이 중단되었고, 18세정도되면 전체중에서 77%가 안정적으로 진행이 중단되었으며 (나머지 23%는 여전히 급격한 근시진행) 21세에 90% 24세에는 96%가 안정적인 상황에 도달한다고 하네요. 그렇기 때문에 보통 라식수술등을 원할경우에는 최소한 22~23세 정도에 하는게 좋다라고 하는것이구.. 2021. 2. 22.
반응형